새로운 service를 만들때마다 workflow yml 파일을 복사 붙여넣기하여 사용하고 있었다. reusing workflows를 사용하여 workflow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workflow를 구성하면서 손이가는 작업이 github actions의 secret를 설정하는 작업이었다. 이부분 또한 organization secret을 사용하여 정리해 보았다. ✏️ Organization secrets Gihub Organization을 사용하고 있다면 Organization 안에서 사용할 수 있는 github actions secrets을 설정할 수 있다. Organization secrets을 사용하지 않았을 때는 repository별로 secrets를 설정해야했다. repositor..
문제점 accept-language에 따라 다른 언어의 html을 보여주어야했습니다. accept-language header를 cloudfront whitelist에 추가하여 origin에 header를 전달하도록 구성했습니다. 하지만 accept-language header의 형태가 다양하여 cloudfront cache의 효율이 좋지 않았고 지원하지 않는 언어가 들어오는 경우 default language 설정이 필요했습니다. user-agent header를 parsing하여 IE 브라우저로 접속 시 redirect 처리하고 있습니다. user-agent header 또한 cloudfront whitelist에 추가하여 origin으로 header를 전달하고 있었지만 cache 효율이 좋지 않았습..
unittest code를 작성하고 test code에서 module을 import할 때 너무나 많은 error가 발생했습니다. module을 찾을 수 없는 error와 attempted relative import with no known parent package error 등의 error가 발생했습니다. 이러한 error가 발생한 원인을 정확하게 파악하려 합니다. __name__의 역할 python의 __name__은 모듈이 저장되는 변수이며 import로 모듈을 가져왔을 때 모듈의 이름이 들어갑니다. 파이썬 인터프리터를 통해 파이썬파일을 직접실행할 경우에는 파이썬에서 알아서 그파일의 name은 __main__이 됩니다. 파이썬 모듈을 import해서 사용할 경우에는 name은 원래 모듈 이름으로 ..
DAS, NAS, SAN는 스토리지의 종류이고, 연결방식의 차이가 있다. DAS(Direct Attached Storage) 시스템에 직접 붙이는 외장 스토리지이다. PC나 노트북에 외장형 하드를 붙이는 방식이 DAS이다. 서버와 하드웨어를 1:1로 연결한다. 서버에 직접 외장 스토리지를 연결하므로 속도는 빠르고 확장은 쉽지만 연결 수에 한계가 있다. NAS(Networt Attached Storage) 서버와 저장 장치가 이더텟 등의 LAN 방식의 네트워크에 연결된 방식이다. LAN은 TCP/IP 프로토콜을 기반이고 저장장치는 SCSI를 사용하므로 이들간의 통신을 휘해 중계 역할을 하는 파일 서버가 필요하다. DAS와 달리 PORT수 제한이 없어 확장성과 유연성이 뛰어나다. 하지만 접속 증가 시 성능의..
3 계층 architecture란? 어떤 플랫폼을 3계층으로 나누어 별도의 놀리적 물리적인 장치에 구축 및 운영하는 형태를 말한다. 계층과 레이어 레이어와 계층이 혼동되어 사용될 때가 있다. 레이어는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분할을 의미하지만, 계층은 이프라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분할을 의미한다. 계층을 분리하여 사용하는 목적 각 계층을 담당하는 팀들을 구성하여 업무 분담이 가능해지므로 업무 효율성이 증가할 수 있다. 여러 대의 서버로 나누어 각 계층이 동작하므로 서버의 부하를 줄여줄 수 있다. 부하가 발생하는 특정 계층의 서버에 대해서만 스케일업을 고려할 수 있다. 3 계층 구조 구성 프레젠터이션 계층 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수집한다.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지원한다. 주로..
AWS에 데이터 저장 시 암호화 적용 클라이언트 측 암호화와 서버 측 암호화를 구분하는 기준은 어디서 암호화를 하느냐는 것이다. 클라이언트에서 암호화를 암호화하는 경우 CSE이고 AWS내의 서버에서 암호화를 하는 경우를 SSE라고 한다. S3에서 object 저장 시 암호화하여 저장하는 방식이 SSE에 해당한다. S3에 object를 업로드하기 전 object를 암호화하여 s3에 저장하는 방식은 CSE에 해당한다. 클라이언트 측 암호화(Client-Side Encrytion)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암호화 수행 고객이 직접 암호화 키를 마련하고 직접 관리하거나, AWS KMS / CloudHSM내에 보관 관리 서버 측 암호화(Server-Side Encryption) AWS가 전송된 데이터에 대해 고객 ..
- Total
- Today
- Yesterday
- conventional commit
- typescript
- commit message
- Python
- slowquery
- Neptune
- Lifecycle
- Elasticsearch
- pagination
- nginx
- shorten
- Clickjacking
- JavaScript
- lambda@edge
- Github Actions
- inversify
- nltk
- Airflow
- Cloudfront
- AWS community day seoul
- Develop
- Terraform
- mognodb
- mongoDB
- Prisma
- graphql
- aws
- Cognito
- NLP
- sementic version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